'책은 무슨, 암기나 해'…그래놓고 학생 문해력 탓하는 사회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 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오프닝 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한글날을 앞두고 문해력 논란이 크게 일었습니다.<br /><br />젊은층을 중심으로 '심심한 사과'라는 표현을 이해하지 못하는 점이 문제시 되면서 문해력 논란이 촉발됐는데요. 신조어와 줄임말 사용이 확산하면서, 한글 파괴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먼저 구하림 기자가 실태를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"사과가 '심심하다'고요?"…후퇴하는 문해력 / 구하림 기자]<br /><br />지난 8월 한 온라인 카페에 올라온 안내문입니다.<br /><br />예약 과정에 불편을 끼쳐 심심한 사과 말씀을 드린다는 내용인데, 이 '심심하다'는 말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듯한 덧글이 달려있습니다.<br /><br />포털사이트에 '심심한 사과'를 검색해봤습니다.<br /><br />"사과가 심심하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", "사과를 하려면 정중하게 해야 하지 않느냐"는 게시글도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젊은 세대가 기존에 두루 사용되는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례는 이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오늘을 뜻하는 '금일'을 금요일로 이해하거나, 3일을 뜻하는 '사흘'을 4일로, '융통성이 부족하다'는 뜻의 '고지식하다'는 지식 수준이 높다는 것인 줄 알았다는 사연도 있습니다.<br /><br />"이처럼 국어에 대한 이해도는 점점 떨어지는 양상이지만, 각종 줄임말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얼죽아 (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)' 같은 유행어는 물론이고, 단박에 이해하기 어려운 줄임말이 10대 사이에서 통용되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각종 SNS와 유튜브 등 영상매체 사용량은 대폭 늘고 독서량은 급격히 줄어든 탓에, 청소년들 사이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단어는 사장되고 대신 신조어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 "영상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양 자체가 매우, 책에서 사용되는 텍스트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양도 적고, 어휘도 극히 한정돼있고…"<br /><br />신조어를 통해 또래 사이 소통이 보다 풍부해진다면 창의적 조어 활동으로 볼 수도 있지만, 널리 통용되는 단어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됩니다.<br /><br />평균 어휘력이 지속적으로 퇴보한다면, 장기적으로는 국가적 위기가 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글을 읽어도 짧은 글만 읽기를 좋아하지 긴 글을 읽기를 꺼려하고… 국민들의 전반적 문해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나라 전체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소이거든요."<br /><br />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발달과는 정반대로 문해력은 오히려 후퇴 위기에 처한 상황… 결코 가볍게 여길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구하림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문해력이 떨어지는 현상은 기초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특히 일선 학교 현장의 고민이 큰데요<br /><br />소재형 기자가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['문해력' 저하 논란…교육 현장 '위기감' / 소재형 기자]<br /><br />"최근 학생들의 문해력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직접 알아보기 위해 한 초등학교에 나와있는데요. 교실로 들어가서 테스트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최근 논란이 됐던 심심한 사과부터 사흘까지,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다섯 가지 단어를 물어봤습니다.<br /><br />5개 단어 가운데 가장 적은 수의 학생이 안다고 대답했던 '고지식하다'란 말의 뜻을, 손을 든 학생에게 물어봤습니다.<br /><br />"지식이 높다?"<br /><br />이번엔 사흘이란 단어의 뜻을 물어봤더니 절반이 안다고 응답했습니다.<br /><br />"(이거 뜻?) 4일?"<br /><br />단어의 뜻을 아는 학생 자체가 적었고, 스스로 뜻을 안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어감으로 유추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 "어렵다기보다는 조금 헷갈린게 많았던거 같아요. 사흘이 있는데 그게 3일인지, 4일인지 그게 좀 많이 헷갈렸어요."<br /><br /> "다섯 문제가 있었는데 네 문제 빼고 한 개만 딱 알았어요."<br /><br />일선에 있는 교사들도 최근 학생들의 문해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실태를 체감하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 "아주 쉬운 단어들이라도 "선생님 이거 이해 안 돼요", "선생님 이게 뭐에요" 라고 물어보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아졌고…"<br /><br />실제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 결과 국어 과목에서 67%, 수학 과목에서 60%의 교사들이 어린 학생들에게 단어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.<br /><br /> "문해력이 저하되다보니까 기초학력 저하와도 이어질 수밖에 없다. 하루 빨리 문해력을 높이는 교육활동들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"<br /><br />교육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교육부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 수업시간을 종전보다 연간 34시간 더 늘리고, 고등학교에선 매체 의사소통, 문학과 영상 등 과목들을 새로 만들어 미디어 문해력을 높일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심심한 사과로 촉발된 문해력 논란. 교육부가 마련한 이같은 대책들이 학생들의 문해력을 높이는데 효과를 낼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<br /><br />[코너 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광고가 언어 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큽니다. 광고에서 많은 유행어가 만들어졌습니다. 광고를 통해 사회에 잘못된 언어 습관이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. 그만큼, 광고에 사용되는 언어에 대해 사려가 깊어야 하는데요.<br /><br />그런데, 최근 광고에서 삐뚤어진 언어 사용 현상이 속속 발견됩니다. 특히 광고가 욕설을 팔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콩고 출신 방송인 조나단의 이름을 활용한 유통업계의 마케팅에 대해 지적이 잇따랐습니다. 흔히 하는 욕설을 연상케 하는 수법인데요. 호텔스컴바인은 조나단을 광고에 출연시키며 '조나 단순한 호텔 찾기'라고 홍보했습니다.<br /><br />맥심도 조나단을 활용해 욕설을 연상케 하는 마케팅을 했습니다. 맥심은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'조나단 슈프림골드 이벤트'를 진행했는데요. 여러 레시피로 만든 커피 명칭을 조나단의 이름을 따서 지었는데, ...